햅삐한 포메라리안 2021. 1. 31. 18:33
반응형

 

위의 사진은 실선으로 이어진 네커가 제시한 정육면체입니다. 빨간 점이 어디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입니까? 색칠한 면을 보이지 않는 면이라고 보면 빨간 점은 정육면체의 보이지 않는 꼭짓점처럼 보이기도 하고 색칠한 면을 앞에서 보이는 면이라고 하면 오른쪽 아래 꼭짓점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네커: 스위스 수학자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정육면체는 몇 개일까요?

색칠한 면을 정육면체의 위에 있는 면이라고 보면 정육면체가 7개처럼 보이기도 하고 색칠한 면을 정육면체의 아래에 있는 면이라고 보면 6개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보이는 관점에 따라 그림이 달리 보입니다. 이렇게 직육면체의 겨냥도를 그릴 때 모든 모서리를 실선으로 그리지 않는 이유는 보는 관점에 따라 직육면체 모양이 달리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이는 모서리는 실선으로, 보이지 않는 모서리는 점선으로 그려서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답니다.

출처-최고소준 수학5-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