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구에서도 약분과 통분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수를 약분하면 분수가 원래 가지고 있던 정보를 잃어버리지만 그런데도 약분하는 이유는 분수가 가진 비율을 쉽게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분수를 기약분수로 바꾸면 분모와 분자의 수가 작아져서 분수가 가진 비율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야구선수 A와 B의 성적을 분모를 15로 통분하여 비교하면
이므로 야구선수 B의 타격 성적이 더 좋습니다.
또 팀의 성적을 비교할 때에도 약분과 통분이 쓰입니다.
㉮ 팀은 42경기 중 28승이고, ㉯ 팀은 45경기 중 21승일 때
로 ㉮ 팀의 이기는 비율이 더 높습니다.
출처-최고수준 수학5-1
반응형
'이런저런 이야기 >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4용지 (0) | 2021.01.19 |
---|---|
고대 이집트의 단위분수 (0) | 2021.01.19 |
SOS는 모스 부호로 무엇일까? (0) | 2021.01.18 |
자신의 약수를 더하면 상대방의 수가 되는 친화수 (0) | 2021.01.14 |
+, -, ×, ÷ 기호들은 누가 언제부터 쓰기 시작한 걸까요? (0) | 202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