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이야기/수학

약분과 통분, 어떻게 쓰일까요?

햅삐한 포메라리안 2021. 1. 18. 23:37
반응형

야구에서도 약분과 통분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수를 약분하면 분수가 원래 가지고 있던 정보를 잃어버리지만 그런데도 약분하는 이유는 분수가 가진 비율을 쉽게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분수를 기약분수로 바꾸면 분모와 분자의 수가 작아져서 분수가 가진 비율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야구선수 A와 B의 성적을 분모를 15로 통분하여 비교하면

이므로 야구선수 B의 타격 성적이 더 좋습니다.

 

 

또 팀의 성적을 비교할 때에도 약분과 통분이 쓰입니다.

㉮ 팀은 42경기 중 28승이고, ㉯ 팀은 45경기 중 21승일 때

로 ㉮ 팀의 이기는 비율이 더 높습니다.

 

 

출처-최고수준 수학5-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