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덜란드 수학자 스테빈(1548년~1620년)은 계산을 할 때 분수를 자연수처럼 계산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거듭하다가 결국 최초로 소수의 개념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스테빈이 소수를 발견한 당시에는 다음과 같이 복잡하게 나타냈습니다.
자리를 나타내기 위해 점을 이용하여 소수를 나타낸 사람은 스위스의 뷔르기(1552년~1632년)가 처음이었습니다. 그는 여러 개의 점을 사용하여 소수를 나타내려고 했답니다.
지금은 같은 소수점 방식을 써서 소수를 나타낸 사람은 네이피어(1550년~1617년)입니다. 네이피어는 자신의 책에서 자연수 자리와 소수 자리를 구분할 때 마침표(.)나 쉼표(,)를 사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네이피어의 이런 방식은 전 세계에 널리 퍼져 오늘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거의 모든 나라가 마침표를 소수점으로 쓰고 있고, 프랑스, 독일 등 유럽 몇몇 나라에서는 마침표가 아닌 쉼표를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소수 표기법의 국제 표준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하고 있습니다.
출처-최고수준 수학6-1
반응형
'이런저런 이야기 >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0) | 2021.01.12 |
---|---|
황금비율 (0) | 2021.01.12 |
덧셈과 뺄셈 기호의 유래 (0) | 2021.01.09 |
지붕은 왜 삼각기둥 모양일까? (0) | 2021.01.09 |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한 분수와 오늘날의 분수 (1) | 2021.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