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77

소수점의 다양한 표기법

네덜란드 수학자 스테빈(1548년~1620년)은 계산을 할 때 분수를 자연수처럼 계산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거듭하다가 결국 최초로 소수의 개념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스테빈이 소수를 발견한 당시에는 다음과 같이 복잡하게 나타냈습니다. 자리를 나타내기 위해 점을 이용하여 소수를 나타낸 사람은 스위스의 뷔르기(1552년~1632년)가 처음이었습니다. 그는 여러 개의 점을 사용하여 소수를 나타내려고 했답니다. 지금은 같은 소수점 방식을 써서 소수를 나타낸 사람은 네이피어(1550년~1617년)입니다. 네이피어는 자신의 책에서 자연수 자리와 소수 자리를 구분할 때 마침표(.)나 쉼표(,)를 사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네이피어의 이런 방식은 전 세계에 널리 퍼져 오늘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거의 모든 ..

(⭐⭐⭐⭐⭐) 집에서 쓰기 좋은 레이저 프린터 추천!

(⭐⭐⭐⭐⭐) 삼성전자 컬러 레이저 프린터 SL-C433 집에서 간단하게 쓰기 좋은 프린터 추천합니다. 일단 컬러가 지원이 되는 것이 좋았고 와이파이도 가능합니다. 지금은 공부방을 운영한다고 복합기가 필요했기에 팔았지만 그 전까지 정말 잘 쓰던 제품이었습니다. 사진 찍어 놓았던 것이 이것 밖에는 없네요... ㅠㅠ 이 제품은 사람들이 이미 집에서 많이 쓰고 계십니다. 그런 이유가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토너가 떨어졌을 때 새걸로 교체하는 것도 쉽습니다. 밑에 링크 걸어 놓을게요~ 쓰면서 좋았던 점은 프린트 나오는 속도가 아주 빠르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에코 기능이 있어서 토너를 오랫동안 쓸 수 있었다는 점도 좋았고 와이파이도 지원되는 부분도 큰 장점이었습니다! 크기도 그렇게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책상 근..

덧셈과 뺄셈 기호의 유래

덧셈(+)과 뺄셈(-) 기호는 독일에서 1489년에 발행된 아이드만의 산수책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덧셈기호(+)는 더한다는 뜻의 라틴어 et(에뜨)를 줄여서 사용했고, 뺄셈 기호(-)는 뺀다는 뜻의 minus에서 간단히 m을 흘려쓰다가 현재의 - 모양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당시에 덧셈 기호는 넘친다는 의미로, 뺄셈 기호는 부족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다가 1514년 네덜란드의 수학자 호이케에 의해서 덧셈, 뺄셈의 기호로 쓰이게 되었답니다. 프랑스 수학자 비에타라가 이것을 여러 곳에 선전하고 다니기 시작하면서 실질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1630년에 정식으로 기호로써 인정을 받았습니다. 출처-최고수준 수학3-1

지붕은 왜 삼각기둥 모양일까?

주변에서 삼각기둥을 옆으로 누인 모양의 지붕을 본 적이 있지요? 대부분의 지붕의 모양은 이렇게 삼각기둥을 옆으로 누인 모양이랍니다. 그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비, 눈과 같은 날씨의 영향 때문입니다. 만약 지붕의 위쪽이 평평하다면 비가 왔을 때, 지붕 위에 물이 고이게 되겠지요? 옛날에는 건축 기술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못해서 물이나 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건물의 붕괴 위험이 있을 수 있었답니다. 하지만 지붕 모양이 삼각기둥이라면 비나 눈이 경사면을 따라 밑으로 떨어지게 되지요. 둘째, 삼각형이 갖는 튼튼한 성질 때문입니다. 삼각형은 압력에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 유일한 구조라고 합니다. 그래서 지붕뿐 아니라 송전탑, 다리, 기중기 등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는 경우에 활용되고 있습니..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한 분수와 오늘날의 분수

빵 2개를 3명이 나누어 먹으려면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요?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한 분수 계산과 오늘날의 분수 계산은 다릅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분수를 나타낼 때, 분자가 1인 단위분수의 합으로 나타내었습니다. 이집트에서 빵 2개를 3명이 나누어 먹으려면 먼저 2개의 빵을 각각 2등분 하여 1개씩 나누어 주고, 남은 1/2의 빵을 다시 3등분하여 각자에게 1/6씩 더 나누어 줍니다. 이런 식으로 계산하면 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빵의 양은 단위분수의 합인 1/2+1/6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은 빵 2개를 3명이 나누어 먹으려면 2÷3=2/3로 한 사람이 2/3씩 먹으면 된답니다. 출처-최고수준 수학6-1

(⭐⭐⭐⭐⭐) 하고로모 분필 홀더

(⭐⭐⭐⭐⭐) 하고로모 분필 홀더 백색 핑크 노랑 연두 파랑 캡 2개를 사보았습니다. 진짜 만족!!! 학생이 많아지면서 분필을 잡는 시간이 많아지니까 손바닥의 껍질이 벗겨지더랍니다... 그래서 장만했습니다. 하고로모 분필은 하고로모 분필 전용 홀더를 이용해야 한다길래 사 보았습니다. 일단 써보고 마음에 들면 사려고 했는데 몇 개 더 주문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주의할 점은 뒤에 버튼을 누를 때 손으로 막은 다음에 누르세요... 뒤에 버튼을 누르면 분필이 튀어나갑니다. 하나는 튀어 나가서 분필이 산산조각 났습니다.. ㅋㅋㅋㅋ 저는 몇 개 더 주문하려고 합니다. 강추!!! 👍👍👍👍👍👍 하고로모 분필 홀더 백색 핑크 노랑 연두 파랑 캡 COUPANG www.coupang.com

사막개미의 남다른 능력

개미는 몸에서 분비되는 페로몬을 이용해서 길을 찾고,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그러나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사막에서는 이 페로몬이 금방 사라진다. 그 때문에 사막개미는 다른 개미들과는 다른 특별한 능력을 이용한다. 사막개미는 자신의 보폭과 걸음 수를 계산하여 이동하고 길을 찾는다. 사막개미는 이 능력을 이용해 집에서 200m 떨어진 곳까지 탐색할 수 있다. 출처-주니어 리딩튜터 스타터2

고추는 혀가, 와사비는 코가 매운 이유

빨간 고추를 먹으면 혀가 얼얼하지만, 와사비를 먹으면 코가 얼얼하다. 그런데 그건 왜일까? 우선, 당신은 매운 음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필요가 있다. 매운 음식은 몸에 있는 감각 수용기의 한 종류를 활성화시킨다. 이것은 극심한 열기에 반응하는 것과 동일한 수용기이다. 따라서, 당신이 고추를 먹으면, 입은 불타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뇌는 실제로 당신의 입이 불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바로 당신이 땀을 흘리고 얼굴이 빨개지기 시작하는 이유이다. 고추에는 크고 무거운 분자들이 있다. 그것들은 입안에 머무른다. 그러나 와사비는 다르다. 그것에는 작은 분자들이 있다. 이것들은 코로 올라가서 당신의 코를 얼얼하게 할 수 있다. 이제 당신이 왜 김치와 초밥에 다르게 반응하는지 알 것이다! 출처-주니어 리..

죽지 않는 랍스터?

랍스터는 사고가 나거나,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지 않는 이상 절대 죽지 않는다. 랍스터의 장수 비밀은 '텔로미어'라는 세포에 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양쪽 끝에 붙어 있는 구조물로, 생명체의 수명은 이 텔로미어가 결정한다. 텔로미어가 짧아져서 사라지면 생명체는 죽게 되는데, 랍스터는 텔로미어를 복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원히 살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나이를 먹으면 껍질이 더 단단해지고 힘도 더 세져서 점점 오래 살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출처-주니어 리딩튜터 스타터 2

반응형